임플란트 보철 고정 방식 3가지 종류 타입 어떤 게 있지?
임플란트는 치아가 손실되었을 때 인공치아를 삽입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삽입된 인공치아는, 자연치아 대신하여 사용된다.
임플란트는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이 적용되며, 대상자인 경우 평생 2개까지는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치과 치료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임플란트의 보철물 고정 방식 3가지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려 하니 함께 보도록 하자.

보철물의 종류
보철물의 종류는, 크라운 종류 등 그에 따른 재료들도 다양한데, 보철물에 따라 고정하는 방식으로 크게 3가지가 있다. 이러한 3가지 고정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임플란트 타입은 보철물의 고정물의 고정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 Screw type – 스크루 타입 나사고정 방식
- Cementation type – 시멘트 타입 시멘트 고정 방식
- SCRP type(Screw & Cement Rerained Prosthesis)
이렇게 3가지로 나뉠 수 있다.
Screw type (스크류 타입) 나사고정 방식
Screw type 방식은 상부 고정물을 인공치근이나 임플란트 지대주에 스크류로 연결을 하는 방식인데,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Screw type 장점
- 임플란트 드라이버 사용하여 분리가 간편한데
- 접착제를 쓰지 않아 위생적이다
- 보철물 수정이 용이하다.
- 크라운 길이가 짧을 경우 적용이 가능하다.
- 공간 부족 시 대합치 정출로 사용할 수 있다.
Screw Type 단점은?
- 드라이버로 조여야 하는 구멍이 필요하기 때문에 심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 구멍 주변에 레진이 파손되면서 저작력이 떨어지고 가공 비용이 높으 편이다.
- 보철물 공정이 복잡하다.
Cementation type(시멘트 타입) 시멘트 고정 방식
상부구조물을 시멘트 지대주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임플란트 뿌리에 지대주를 연결을 한 후 후 임플란트 크라운을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것을 말하며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Cementation type 장점
- 씹는 면에 드라이버로 풀기 위한 구멍이 없기 때문에 심미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 교합의 변화가 없고 파절 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 Screw, SCRP 타입에 비해 가공 과정이 쉬운 편이다
- 시멘트 층이 있어 수동적으로 적합해진다.
Cementation type 단점
- 크라운의 길이가 짧을 때는 내구성이 감소한다.
- 상부 보철물의 분리가 어렵다
- 보철물의 수정 및 남은 접착제 제거가 어렵다
SCRP type(Screw & Cement Rerained Prosthesis)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픽스쳐에 체결하기 위해 스크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스크류와 시멘트 방식의 혼합형이라고 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장단 점이 있다.
SCRP type 장점
- 스쿠류타입과 시멘트 타입의 장점만을 고려하여, 임플란트 관리 및 위생이 용이하다
- 임플란트 보철이 손상되었을 때 쉽게 분리하여 유지관리 및 수리가 용이하다.
SCRP type 단점
- 보철물에 구멍이 있어서 비심미적이다.
- 교합 조정이 불편한다.
요즘 치과 의사들의 경우 SCRP 타입을 많이 선호하고 있다. 그렇지만 환자의 구강상태와 치조골 형태, 그리고 치조골의 양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구강 상태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해야지만 잘못된 임플란트 시술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볼만한 이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