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경기, 인천 지원범위와 최대 44만 원 혜택을 알아보자!

K패스 경기, 인천 지원범위와 최대 44만 원 혜택을 알아보자!

이번 시간에는 최대 44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K패스에 대해서 알아보려 한다.
44만 원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K패스는 어떤 것일까? 알아보자.

K패스 경기, 인천 지원범위와 최대 44만 원 혜택을 알아보자!

K패스는 어떤 것일까?

대중교통 이용 시 자동으로 이용한 비율만큼 환급되는 카드를 말한다.
월 15일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최대 60회까지 지급되며 환급 비율은 다음과 같다.

구분일반청년저소득
환급비율20%30%53%
한 달 대중교통비
7만원일 경우 연간 환급 비용
17만 원 절약25만 원 절약44만 원 절약

K패스 이용 방법은 어떻게 하지?

K패스는 회원을 대상으로 환급되며 K-패스카드 발급을 받은 후 회원 가입 후 이용이 가능하다.

  1. 11개 카드사(현대카드, 국민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티머니, DGB유페이, 하나카드, 삼성카드, 농협카드) 중 원하는 교통카드를 골라 신청한 후 K-패스 카드를 수령한다.
  2.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1)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진행
    2) 발급된 카드 번호 입력하고 ‘유효성 체크’ 클릭
    3) 필수 약관 모두 동의 시 본의 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진행하기
    4) 주민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5) 필수 회원 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하기
  3. 카드번호 확인, 약관동의, 주민번호 확인, 주소 확인 및 저소득층 여부 확인 완료되면 가입이 완료되게 된다.

기존 알뜰카드 회원은?

기존에 알뜰카드 회원의 경우 알뜰교통카드에 또는 홈페이지에서 K-패스 전환 동의만 하면 기존 알뜰 교통카드를 그대로 K-패스 이용이 가능하다.

회원 가입 후 K-패스 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 시 계좌입금, 결제금액 차감 등 카드사 지급 방식에 따라 환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모바일 페이로 카드를 등록하는 경우 환급을 위해 후불형 교통카드로 등록해 주면 된다.
환급금액은 실시간으로 확인되지 않으며 대중교통 이용 후 최대 14일 이후에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환급금액이 확인 가능하다.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 등록번호로 주소지 인증이 가능하며 만약 앱에서 진행이 되지 않으면 홈페이지에서 관련 서류를 업로드하여 가입이 가능하다.

카드는 어떤 종류가 있지?

각 카드사마다 K-패스 사용이 가능한 카드는 다음과 같다.

K패스 경기 지원은?

K패스는 전국 모든 대중교통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지원범위가 증가한다.
단, 시외(고속)버스, KTX, SRT 등 별도 발권 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을 포함되지 않는다.

다른 볼만한 이야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