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보철(크라운) 종류 나한테 맞을까? 나에게 적합한 크라운 고르기
임플란트는 픽스처라고도 알려진 인공치근과, 어버트먼트라고 불리는 지대주, 그리고 크라운이라고 불리는 보철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도 이번 시간에는 보철물의 외관을 담당하는 음식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치아의 상단인 보철물의 종류에 따라서 치아의 심미적인 측면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이러한 임플란트 보철 종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나에게 적합한 크라운을 알아보도록 하자.

임플란트 시술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보철물 선택이다. 이 때 개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 보철물 제작 여부 및 재료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임플란트 보철물은 음식을 먹을 때 흔들림이 없어야 하며, 자연치아의 기능적인 부분을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
임플란트 시술 시 어떤 보철물을 사용할까?
임플란트 치료 시 많이 사용되는 보철물로는 금(Gold), PFM(Porcelain Fused Metal),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이 있다.
PFM
PFM보철물은 내부 구조가 금속이고 겉 부분이 도재관인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보철물의 장단점을 알아보자면 다음과 같다.
- 장점 – 지르코니아나 금 같은 재료들이 비해 비용 부담이 적은 편에 속한다.
- 단점 – 외부 충격에 강하고 자연치아와 유사한 심미적인 면을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있을 경계 부위가 어둡게 변하는 단점이 있다.
지르코니아(Zirconia)
지르코니아는 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모두 우수한 재료이며, 최근 임플란트 시술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철 종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르코니아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자면 다음과 같다.
- 장점 – 인공 다이아몬드로 불릴 정도로 내구성이 강한 지르코니아는, 자연 치아와 유사한 색상으로 이질감 없는 보철을 만들 수 있는데, 가끔 올 세라믹에 비해 심미적인 면에서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측면까지 보완이 되어 앞니와 어금니를 포함한 다양한 부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보철물이다.
- 단점 – PFM 크라운에 비해 보철 비용이 비교적 높아 부담이 될 수 있다.
금(Gold)
보철 재료 중 가장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는 보철재료로 금은 치아와 거의 비슷한 강도를 지니고 있는데, 파손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 장점인 보철물이다.
- 장점 – 변색, 부식, 알레르기 반응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생체 친화적인 소재이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사용할 수 있는다.
- 단점 – 치아 색상과 매우 다른 금빛을 띠기 때문에 입안에 위치한 어금니에만 주로 사용된다. 최근 국제 금값의 인상으로 진료비에 합금 비용이 40~50만 원 추가되면서 진료비 부담이 가중되는 소재이다.
임플란트와 같은 경우에는 구강 내부의 전체적인 상태와 신체 공간까지 고려하여 진행해야 하는 어려운 시술이다. 그렇기 때문에 임상 경험이 많고,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의료진을 선택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임플란트 보철을 선택할 시, 환자 개개인의 치아 상태를 자세히 진단하고 가장 적합한 보철물을 선택할 수 있는 치료 경험이 많은 의료진과 함께 상담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다른 볼만한 이야기.



